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해석학 #유계 #상계 #하계 #집합
- 데이터베이스 #제약조건
- 일차종속 #일차독립 #선형대수학 #벡터공간
- 해석학 #상한 #하한 #최댓값 #최솟값
- Database #DBMS
- 리액트 #React #컴포넌트 #component
- 선형대수학 #벡터공간 #벡터 #수학
- 아르키메데스 #Archimedean Property #해석학 #Analysis
- raspberrypi #라즈베리파이4 #ssh
- AI #math #function
- React #리액트 #component #life cycle
- 삼각함수 #sin #cos #tan
- chatgpt # chatgpt api
- subspace #부분공간 #선형대수학
- C# #unity #유니티
- React #Hooks
- 데이터베이스 #키 #key #슈퍼키 #super key #외래키 #foreign key #후보키 #candidate key #기본키 #primary key
- chatgpt api
- 프로토콜 #네트워크 #통신 #컴퓨터
- 유클리드 기하학 #유클리드 공준 #기하학 #중등 기하 #평면 기하
- chatGPT #openAI #인공지능 #chatGPT4
- 라디안 #호도법 #각도 #기하 #고등수학 #수학
- OSI #OSI 7계층 #컴퓨터 네트워크
- 완비성공리 #실수
- 실수 #성질 #정리 #체 #Field #공리
- 수학 #공리 #정의 #정리 #명제
- 딥러닝 #퍼셉트론 #perceptron #신경망 #neural network
- 기하와 벡터 #직선 #직선의 방정식 #벡터 #방향벡터
- span #generate
- C# #Framework #.NET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6)
기록하고 기록하면 어떻게 될까

리액트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때 사용자가 보는 요소는 여러 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다. 즉 컴포넌트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최소의 UI 요소라고 할 수 있다. 가령 나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보면 상단에는 이미지와 소개가 있는 상단 컴포넌트 부분과 하단에는 내가 작성한 글들 각각의 컴포넌트 그리고 그 글들의 묶음형태의 컴포넌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. (물론 실제로 이렇게 개발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컴포넌트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그렇다는 얘기다) 컴포넌트의 종류로는 클래스형 컴포넌트 그리고 함수형 컴포넌트가 있다. 클래스형 컴포넌트 Class Type Component 말 그대로 컴포넌트를 클래스 형태로 정의한 구조이다. 예시 1 예시 2 class Welcome extends Reac..

지난번 글을 통해 유계와 관련된 용어들을 다뤘다. 이번 글은 그 때 다룬 상계 upper bound와 하계 lower bound 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는 상한 supremum 과 하한 infimum 에 대해 다뤄보겠다. 사실 상계 upper bound 와 하계 lower bound 의 정의를 잘 이해한다면 상한과 하한은 그냥 따라 오는 개념이라 생각할 수 있다. 상한 supremum 그리고 하한 infimum 의 정의 공집합이 아닌 실수 집합 R 의 부분집합 S를 생각하자. 상한 Supremum 집합 S가 위로 유계이면, 집합 S의 상한 u는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하며 SupS 로 표기한다. If S is bounded above, then a number ..
수학은 명제들을 다루는 학문이다. 이 때 논리를 사용하여 명제들을 증명하는데 사용되는 논리는 크게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있다. (단 귀납적 방법은 셀 수 있는 경우에만 적용된다. 이는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다.) 수학에서 명제들은 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불리게 되는데 일단 명제란 무엇인지부터 다루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. 명제란? 명제 statement 란 참 또는 거짓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장이다. 즉 참인지 거짓인지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는 문장들은 전부 명제가 아니다. 명제의 예 크리스마스는 12월 25일 이다.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. 36은 3의 배수이다. 명제가 아닌 예 사과는 맛있다. 그녀는 아름답다. 그리고 이 명제들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르게 불리게 된다. 수학에서 특별한 명제들은 공리,..